지난시간에는 코틀린으로 main 함수를 실행해보았습니다. 이 포스팅은 최소한의 지식으로 앱을 만들기 위해 포스팅을 하게되었습니다. 코틀린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은 하나씩 보시면서 복사붙혀넣기로 따라하셔도 좋습니다.
Kotlin 기초 main함수 실행하기(복사 붙혀넣기 만하면 다 가능)
오늘은 kotli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서 알려드리는 것들은 모두 복사붙혀넣기로 사용해보시고 아하 이렇게 하는 거구나~ 라고 이해를 해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Kotlin 실행 환경 코틀린을
coke-dev.tistory.com
Kotlin 기초 숫자, 문자, 문자열 등 출력해보기
코틀린에서 사용하는 자료형을 보기전에 먼저 val, va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틀린은 다른 언어와 달리 자료형앞에 var 와 val 라는 선언을 붙혀줍니다. 그러면 var와 val는 무엇이며, 왜 사용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var, val
코틀린(Kotlin)에서 val과 var는 변수를 선언하는 두 가지 키워드입니다. 이들은 변수의 변경 가능성에 따라 다릅니다.
val (Value): val로 선언된 변수는 불변(immutable)입니다. 이는 한 번 초기화되면 그 값을 변경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즉, val로 선언된 변수는 읽기 전용 변수가 됩니다. 자바의 final 변수와 유사합니다.
val과 var의 선택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값을 처리할 때는 val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var를 사용합니다. val을 사용하는 것이 코드를 더 안전하게 만들고, 의도치 않은 변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val number: Int = 10
// number = 20 // 이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val'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할 수 없습니다.
var (Variable): var로 선언된 변수는 가변(mutable)입니다. 이는 변수에 값을 여러 번 할당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var number: Int = 10
number = 20 // 'var'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코틀린에서 사용하는 자료형
정수형: Byte (8비트), Short (16비트), Int (32비트), Long (64비트)
부동소수점형: Float (32비트), Double (64비트)
문자형 (Character Type): Char. 문자를 나타내며, 유니코드 문자를 저장합니다.
논리형 (Boolean Type): Boolean.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지는 논리적 값입니다
문자열 (String Type): String. 문자들의 시퀀스(연속)를 나타냅니다. 문자열은 불변(immutable)입니다.
배열 (Arrays): Array<T>. 같은 타입의 요소들을 저장하는 컨테이너입니다. 여기서 T는 배열에 저장되는 요소의 타입을 나타냅니다.
// 숫자형
val byteNumber: Byte = 1
val shortNumber: Short = 123
val intNumber: Int = 12345
val longNumber: Long = 123456789L
val floatNumber: Float = 123.45f
val doubleNumber: Double = 12345.6789
// 문자형
val charValue: Char = 'A'
// 논리형
val booleanValue: Boolean = true
// 문자열
val stringValue: String = "Hello, Kotlin!"
// 배열
val intArray: Array<Int> = arrayOf(1, 2, 3, 4, 5)
위의 자료형을 출력하는 예시 코드
fun main() {
// 숫자형
val byteNumber: Byte = 1
val shortNumber: Short = 123
val intNumber: Int = 12345
val longNumber: Long = 123456789L
val floatNumber: Float = 123.45f
val doubleNumber: Double = 12345.6789
// 문자형
val charValue: Char = 'A'
// 논리형
val booleanValue: Boolean = true
// 문자열
val stringValue: String = "Hello, Kotlin!"
// 배열
val intArray: Array<Int> = arrayOf(1, 2, 3, 4, 5)
// 출력
println("Byte: $byteNumber")
println("Short: $shortNumber")
println("Int: $intNumber")
println("Long: $longNumber")
println("Float: $floatNumber")
println("Double: $doubleNumber")
println("Char: $charValue")
println("Boolean: $booleanValue")
println("String: $stringValue")
println("Array: ${intArray.contentToString()}")
}
출력화면
여기까지해서 숫자, 문자, 문자열, 배열을 출력하는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컬렉션이라는 자료형과 아무것도 반환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ndroid(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기초, 덧셈, 뺄셈, 나눈셈, 곱셈 함수 만들어서 사용하기 (0) | 2023.12.16 |
---|---|
Kotlin 기초 컬렉션 타입의 자료형과 null 타입, 아무것도 반환하지 않는 타입 (0) | 2023.12.10 |
Kotlin 기초 main함수 실행하기(복사 붙혀넣기 만하면 다 가능) (0) | 2023.11.26 |
댓글